개발사 가이드

[개발사 가이드] KAIST-네이버 AI랩, 창의성 강화한 AI 기술 개발

앱결제안심터 2025. 6. 24. 16:40

 

오늘은 KAIST와 네이버 AI랩이 공동으로 개발한 혁신적인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창의적인 AI 이미지 생성’을 가능하게 한 세계 최초의 방법론, 지금 함께 알아볼까요?


핵심 요약

  • 기관: KAIST 김재식 교수 연구팀 × 네이버 AI랩
  • 기술: 추가 학습 없이도 AI의 창의적 이미지 생성 강화
  • 방식: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의 내부 특징 맵을 조절해 창의성 향상
  • 발표 학회: 국제 CVPR 2025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뻔한 이미지는 이제 그만!

연구팀은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모델의 내부 구조를 분석한 결과, ‘얕은 블록’(shallow blocks)이 창의적인 결과물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 블록에서 나온 특징 맵(feature map)을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뒤, 고주파 영역의 값을 증폭하면 노이즈와 조각난 패턴 등 더 창의적인 이미지 생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학습 없이도 창의력 강화!

가장 놀라운 점은, 이 기술이 추가 학습 없이도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 기존 사전 학습된 Stable Diffusion 모델 그대로

✅ 내부 특징 맵의 주파수 영역 조절만으로

✅ 이미지 다양성 증가, 모드 붕괴 완화

 

권다희, 한지연 박사과정 연구생은 “AI의 내재된 창의성을 끌어내는 핵심은 블록별 주파수 조절”이라며 실제 실험에서 눈에 띄는 변화를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실용성 & 기대 효과

이 기술은 단순한 실험 그치지 않습니다.

💡 제품 디자인

💡 예술 창작

💡 브랜딩 이미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의 창의력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것입니다.

 

최재식 교수는

“AI가 스스로 창의적인 방식으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시대가 도래했다”며

“이 기술이 창의적 생태계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어디서 발표됐나요?

  • 발표: CVPR 2025 (국제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학회)
  • 지원: KAIST-네이버 초창의적 AI 연구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마무리하며

“추가 학습 없이도, 더 창의적인 AI”

이제 상상력은 인간만의 것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