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ISSUE] 머지포인트, 환불 대란에도 재차 '소비자 기만 행위' 펼쳐

앱결제 위클리 이슈/위클리 모바일결제

대규모 사기 논란을 빚은 머지포인트

또다시 소비자를 기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취재 결과 머지포인트가 소비자의 잔여 포인트

차감을 위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합니다.

 

현재 머지포인트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면

다양한 브랜드가 머지포인트 차감을 통한

제품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전 머지플러스가 브랜드의 금액권을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여 금액권에 기재된

금액만큼 사용할 수 있게 했던 

기존 서비스와 유사해 보이지만

현재 시행되는 서비스는 꼼수가 숨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품을 구매할 때 1건당 1개의

쿠폰 적용이 가능하며 쿠폰과 상품 금액은

큰 폭으로 차이가 나 결국 소비자가 추가 금액을

더 많이 지불할 수 밖에 없는 형식입니다.

 

특히 전 브랜드의 상품 가격 대부분이

포인트로 구매할 수 있는 상품권 금액보다

높게 책정되어 있어 과금이 필수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서비스 축소 및 환불사태로 머지포인트에

발목잡힌 소비자들은 이런 서비스에 울며

겨자먹기로 포인트를 털어버리는 방법뿐이라 합니다.

 

전문가 역시 머지포인트의 행태가 불법은

아니지만 상처받은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라 지적합니다.

 

앞서 머지플러스는 편의점, 대형마트, 외식

체인점 등 전국 2만 개 제휴 가맹점서 무제한

20% 할인을 내세우며 선불 충전금인

머지포인트를 오픈마켓 등에서 판매하여

회원 수를 100만 명까지 늘렸었습니다.

 

이후 지난해 8월 포인트 판매를 기습 중단하고

사용처를 축소한다고 밝혀왔으며, 후에

전자금융업자 등록조차 하지 않은 사실이 

전해지며 이용자들이 머지플러스 본사를 

찾아가 환불을 요구하는 환불 대란 사태가

빚어졌습니다.

 

현재 머지플러스 대표와 실질적 운영자는

구속돼 재판받고 있으며 머지플로스의

영업도 사실상 불가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 본문을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콘텐츠 거래가 증가하면서 발생하고 있는 이용자

피해에 대한 사전예방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앱결제안심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여 모바일 결제 관련 결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주간 ISSUE] 음악/웹툰은 인앱 아닌 PC 결제 30% 싼데.. 왜 게임은 가격이 똑같을까

앱결제 위클리 이슈/위클리 모바일결제

왜 게임 아이템은 PC와 모바일 가격이 같나요?

 

카카오톡 이모티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이용권 등은

PC로 구매하는 것이 앱을 통해 결제하는 것보다

저렴합니다.

 

이러첨 같은 상품임에도 가격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결제방식' 때문인데요.

 

모바일의 경우 구글과 애플(플랫폼)이 

제공하는 인앱(In-App)결제 시스템만을 사용해

수수료 30%가 부과되지만,

PC의 경우 자체 결제 방식을 도입해

평균 5%의 수수료만 내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게임 아이템의 경우에는

PC와 모바일 가격이 똑같아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PC 결제의 경우 앱 마켓에 수수료를 내지 않는 만큼

가격도 더 저렴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입니다.

 

최근 게임업계에서도

자체 결제 시스템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PC버전의 경우 구글과 애플로부터 특별한

편의를 제공받지 않는 만큼 굳이 인앱 결제를

적용해야 할 이유가 없다는 의견이 확산되고

점차 자체 결제를 도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 본문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앱결제안심터는 스마트폰 보급 확대로 모바일

콘텐츠 거래가 증가하면서 발생하고 있는 이용자

피해에 대한 사전예방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앱결제안심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여 모바일 관련 결제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뉴스] - 성인 10명 중 7명 "온라인 정기구독 서비스 이용"

앱결제 위클리 이슈/위클리 모바일결제

 

 

 

국내 성인 10명 중 7명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음악 스트리밍 등 ‘정기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 기사로 이동하기>>

 

 

성인 10명 중 7명 "온라인 정기구독 서비스 이용"

국내 성인 10명 중 7명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음악 스트리밍 등 ‘정기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바로면접 알바콜이 성인 남녀 807명을 대상으

www.edaily.co.kr

 

[뉴스] - “중학생이 쏜 고액 별풍선”…결국 환불받았다

앱결제 위클리 이슈/위클리 모바일결제

 

 

 

 

중학생으로부터 받은 후원금(별풍선)의 환불을 거절했던 BJ 겸 유튜버 랄랄이

최근 해당 가족에게 후원금을 환불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용자 사이에서도 환불 여부를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본문 기사로 이동하기>>

 

 

[단독] “중학생이 쏜 고액 별풍선”…결국 환불받았다

중학생으로부터 받은 후원금(별풍선)의 환불을 거절했던 BJ 겸 유튜버 랄랄(본명 이유라)이 최근 해당 가족에게 후원금을 환불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용자 사이에서도 환불 여부를 놓고 논란이

biz.heraldcorp.com

 

[뉴스] - '확' 늘어난 모바일 결제, 헌금도 현금으로 안 내는 시대

앱결제 위클리 이슈/위클리 모바일결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의 유행은 오프라인의 소비를 위축시켰다.

자가 격리와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이커머스·배달 등 온라인 소비가 활발해졌다.

여기에 수 십 초간 이뤄지는 대면 결제 시간 동안 코로나19가

전염될 수 있다는 불안감도 커져 비대면 결제가 확대되는 양상이다.

 

본문 기사로 이동하기>>

 

'확' 늘어난 모바일 결제, 헌금도 현금으로 안 내는 시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의 유행은 오프라인의 소비를 위축시켰다. 자가 격리와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이커머스·배달 등 온라인 소비가 활발해졌다. 여기에 수 십 초간 ...

zdnet.co.kr